2024.05.08 (수)

  • 흐림서산 11.3℃
  • 대전 10.7℃
  • 홍성(예) 12.1℃
  • 흐림천안 11.0℃
  • 흐림보령 12.0℃
  • 흐림부여 11.8℃
  • 흐림금산 10.7℃
기상청 제공

신경용의 뉴스창

【환경】세종지역 아파트 10여곳에서 1급발암물질 '라돈 검출공포'

URL복사

-정의당 이정미의원과 세종시당이 세종시 아파트 십여곳서 검출 밝혀.
-구체적인 아파트는 조만간 정기국회에서 공개하기로.
-국립환경과학원, 세종 등 충청권과 수도권 아파트 9개단지 60가구에서 검출.

[sbn뉴스=세종] 신수용 대기자·권오주 기자= 세종시의 행복도시내 아파트 가운데 십여곳에서 1급 발암 물질인 라돈(RN)이 검출, 충격속에 시급한 개선이 요구된다.

26일 국회 환경노동위 소속 정의당 이정미 의원과 지난 20일 이정미 의원과 정의당 세종시당(준) 공동주최한 세종지역 라돈 석재 사용의 심각성을 다룬 시민공청회에서 밝혀졌다.

​정의당 세종시당 이혁재 위원장은 공청회에서 "비작그레이를 비롯해 카페임페리얼 등 라돈 검출 석재가 세종시 아파트 십여곳에 사용된 것이 확인됐다"라고 "이에 대해 조사기구를 만들어 정밀 검증한 후 범시민차원의 대책을 세워나갈 것이다"라고 밝혔다.

이 위원장은 "이에따라 세종지역 아파트 10여곳에서 라돈이 검출된 구체적인 내용은 이번 정기국회때 공개될 것"이라면서 "세종 라돈아파트 문제가 세종시의 주요이슈로 부각될 것"이라고 말해 정치 쟁점화를 예고하고 있다.

이정미 의원은 이날 "최근 1년 사이 준공된 아파트 10곳 중 6곳에서 관련 법상 권고기준치를 초과하는 라돈(1급 발암물질)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립환경과학원이 세종 등 충청지역과 서울, 경기, 인천, 수도권 등 신축 아파트 9개 단지, 60가구에서 실내 라돈농도를 측정한 결과 총 37가구(61.7%)에서 권고기준인 148베크렐(Bq/㎥) 이상이 검출됐다.

​국립환경과학원이 실내 라돈농도를 측정한 아파트는 충청권과 수도권 등에서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5월 사이에 준공된 주민 입주 전 단지들이다.

이가운데 A 아파트단지의 경우 라돈 평균농도가 권고기준치의 2.4배에 달하는 345.4베크렐에 달했다.

전문가들은 라돈은 일상생활에서 쉽게 노출, 담배를 태우지 않은 사람에게도 폐암을 일으킨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전체 폐암 환자의 3∼14%가 라돈에 의해 발병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을 정도다.

정의당 이정미 의원은 신축아파트에서 라돈 검출과 관련해 P 건설사  L 대표이사를 다음달 환경부 종합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신청했고 현재 증인 채택 여부를 논의하고 있다.

환경부는 자료에서 인천 송도국제도시 등 전국의 신축 아파트 단지 10여곳에서 입주민과 건설사 사이에 라돈 검출을 둘러싼 분쟁이 잇따라 발생하자 지난해부터 관계부처 합동 대책을 논의해 왔다.

현행 실내공기질관리법에 따른 라돈농도는 '권고' 기준이며 2018년 1월 이후 사업승인된 아파트는 200베크렐, 올해 7월 이후 사업승인된 아파트는 148베크렐이 각각 적용된다. 

 때문에 법 개정 이전에 사업승인을 받은 전국의 라돈 분쟁 아파트들은 입주민의 라돈 검출 마감재 교체 요구를 대부분 건설사가 거부하고 있다.

P건설이 인천 송도국제도시에 지은 아파트의 경우, 입주민들이 라돈이 검출되는 화장실 선반과 현관 신발장 발판석 등을 교체해달라고 요구했으나 회사 측이 거부해 소비자 분쟁조정 절차가 진행 중이다.

이 의원은 "정부와 건설사는 입법 미비를 이유로 국민의 건강을 외면해선 안 된다"며 "한국소비자원 분쟁조정위가 라돈 마감재의 위험성을 정확히 조사하고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중앙행정기관장이 건설사에 대해 해당 자재 수거·파기 등 강력한 조치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 20일 정의당 세종시당의 시민공청회에는 관련 전문가와 정당관계자 및 아파트 입주자 그리고 입주예정자 등 40여명이 참석했다. 

연세대학교 환경공학과 조승연 교수는 "환경부 조사결과 한국은 라돈 위험 적색국가이고 그 피해는 연간 음주운전 사망자의 4배에 이른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라돈은 어디에서나 발생한다. 어느 특정 지역의 문제가 아니기에 인정하고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정미 의원실의 정송도 보좌관역시 "법적 강제성이 없다"라며 가이드라인만을 요구하는 건설사의 소극적 태도를 지적하며 몇 지역의 사례처럼 입주자대표와의 논의로 자재를 교체하는 등의 적극적 대응을 요구했다. 

정 보좌관은 "라돈(Rn-222)만이 아닌 토론(Rn-220) 포함 조사와 측정기기, 측정방법 현실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포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