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7 (토)

  • 흐림서산 3.5℃
  • 대전 3.3℃
  • 홍성(예) 3.6℃
  • 흐림천안 2.7℃
  • 흐림보령 3.0℃
  • 흐림부여 3.0℃
  • 흐림금산 4.4℃
기상청 제공

[기획] 숭문동 8문장가 시인 기록 신광연 삶의 이야기

URL복사

 

우리고장 화양면 활동리와 대등리(숭문동)에는 8문장가 중 시인 기록 신광연과 그의 형제들은 대문장가로 세상에 명성을 날렸고 늦게나마 관계에도 진출하였다. 그 뒤에는 고향을 떠나 전국을 유랑하며 지낸 큰형 석북 신광수와 동생 진택 신광하의 생활과는 반대로 부모님과 고향을 지키며 살았다. 기록 신광연의 삶을 살펴보고자 한다. <편집자 주>

 

고령신씨가 우리 고장 화양면 활동리(숭문동)에 정착하게 된 것은 석북 신광수, 기록 신광연, 진택 신광하, 부용당 신 씨의 6대조 참판공 신영원(申永源1496∽1572)께서 한산이씨 목은 이색(李穡1328∽1396)선생의 후손인 이윤수(李允秀)공의 따님과 결혼하여 처가인 이곳 활동리(숭문동)에 정착 세거하면서 번창하였다.

 

후대에 내려오면서 첨추공 신호(申澔 1687∽1767)의 첫째 부인 성산이씨는 석북 신광수(申光洙 1712∽1775)와 기록 신광연(申光淵 1715∽1778)을 낳으시고, 둘째 부인 전주이씨는 진택 신광하(申光河 1729∽1796)와 부용당 신 씨(申氏 1732∽1791)를 낳았다.

 

 

1. 가족과 고향을 지켜며 살았다.

 

형님 석북 신광수와 아우 신광하의 삶에 비교하면, 기록 신광연(申光淵)의 삶은 참으로 측은하기만 하였다.

 

자신이 신선처럼 사슴을 타고 마음껏 세상 바깥 기이한 곳을 찾아다니던 기록(기록-사슴타고)의 꿈을 그는 이루지 못했다.

 

잠시 고향 숭문동을 떠나 우리 고장 장항읍 송림리(鷄山-당뫼) 송강(松江-솔리천)에서 바닷물을 끓여 소금을 얻는 자염업(煮鹽業)으로 생계를 꾸림을 제외하고는 끝내 고향에서 부모님을 모시며 작은 농토를 지으며 살았다.

 

기록 신광연은 7번이나 초시(생원)에 합격하였으나 대과에는 급제하지 못했고, 57세에 진사시험(사마시)에 급제해 8문장가의 전통을 이었다.

 

 

역사책 몇 가지를 제외하고는 많은 공부를 하지 않았다. 또한 못마땅한 세상과 사람들의 비판을 서슴치 않아 교제를 한 사람이 많지 않았다.

 

2. 첫 아들을 잃고 3딸만 남아

 

기록 신광연(申光淵)은 두명의 부인을 두었다. 첫째 부인은 파평윤씨(坡平尹氏) 윤취민(尹就敏)의 따님과 결혼을 하여 첫 아들을 낳았으나, 일찍이 요절하여 아들을 잃었다.

 

그 후 두 번째 부인으로 강릉김씨(江陵金氏) 김최경(金最慶)의 따님과 결혼하여 3명의 딸만 낳았다.

 

기록 신광연은 후사가 없어 형님 석북 신광수(申光洙)의 4째 아들 신석상(申奭相1737-1816)으로 하여금 후사를 이었다.

 

신광연의 첫째 딸은 파평윤씨 장인 윤취민(尹就敏)의 손자 윤승환(尹昇煥)에게 시집갔고, 둘째 딸은 이재상(李載常)에게, 셋째 딸은 목현중(睦玄中)에게 시집갔다.

 

첫째 딸이 장인 윤취민(尹就敏)의 손자와 결혼을 하게 됨은 둘째 부인에게서 낳은 딸이기에 시집을 갈 수 있었다.

 

신광연의 서모 전주이씨가 낳은 부용당신씨 동생이 석북 신광수(申光洙)의 장인 윤두서(尹斗緖)의 손자 윤운(尹惲)에게 시집을 보내는 경우와 같은 결혼풍습이었다.

 

 

3. 잘 알려지지 않은 인물

 

기록 신광연에 대하여는 요즘 문학을 하는 사람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다. 이름 없는 문인에 가깝다.

 

‘숭문연방집’에 전하는 신광연의 문집 기록초음(騎鹿樵吟)이 아니었다면, 신광연의 고민과 궁핍한 삶을 들여다볼 수 없었을 것이다.

 

문집의 제목도 참으로 초라하기만 하다. “기록(騎麓-신광하)이 땔나무 하며 하는 말”이라고 하였다.

 

자신이 땔나무꾼 시인 정도의 시집이라는 것이다.

 

아마 당대에 여춘영(呂春永1734∼1812)의 노비로 명성을 날렸던 시인 정초부(鄭樵夫.일명 丁樵夫1714∼1789)가 그랬던 것처럼 기록 신광연(申光淵)도 비추어 ‘기록초음’이라 하지 않았나 싶다.

 

아우 진택 신광하(申光河)가 쓴 묘지명에, 큰형님이 이곳저곳으로 나가 돌아다니자 둘째 형님께서는 집에 머물면서 부모님을 봉양하였으니 여러 아우와 조카들이 모두 둘째 형님이신 공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큰형님이 일찍이 나와 더불어 고금의 시인들을 논하다가 둘째 형님(申光淵)의 시는 어떠한지 물었다.

 

 

내가 “신기하고 빼어나며 굳세고 호쾌한 것은 둘째 형님이 큰형님(申光洙)을 따를 수 없습니다만 침울(沈鬱)하고 고고(高古-예스럽고 고상함)한 것은 큰형님이 양보하셔야 하겠습니다.”라고 했더니, 탁월한 식견이라고 인정해주셨다.

 

묘비명에 밝힌 바와 같이 기록 신광연은 부모님을 모시며 고향을 지키며 침울하고 고고한 시를 쓰면서 곤궁한 살림을 하면서 가족들의 버팀목 역할을 하며 살았음을 알 수 있다.

 

4. 궁핍한 생활의 연속

 

기록 신광연은 말 그대로 굶기를 밥 먹는 듯하며 살았다.

 

병든 아내는 곡식을 못 빌릴까 걱정하고, 어린 딸들은 발버둥 치며 울어대는 생활고의 현장이 인근 부여(扶餘)를 지나면서 그가 남긴 시 久寒<구한-오랜 추위>에서 알 수 있다.

 

“들판에는 시든 풀이 아득히 널려있고/ 황패한 밭은 끝이 보이지 않는다./ 해질 무렵 떠도는 행인들/ 북풍한설에 떠나는 섣달의 말/ 언덕에 기대어 부부는 우는데/ 세금 독촉에 관리는 야단법석/ 어느 곳에 낙토(樂土 : 편안한곳)가 있단 말인가/ 올해는 끔찍이 어렵고도 힘드네/가림도중<嘉林道中>이라는 시에서도 어느 곳에 가야 편안한 곳이 있단 말인가?/”

 

“아이는 어미 등에서 보채는데/ 가야 할 길은 정말로 아마득/ 떠도는 삶에 정처를 찾기 어렵고/ 가슴 속의 정회(情懷:애틋한 감정)는 가눌 수 없네./ 옷가지 허름한데 눈은 내리고/ 눈앞에는 다시 해가 떨어지네/ 친척이 아니어서라고 말한다 해도/푸대접에 공연히 마음 상하네/”

 

기록 신광연이 가장으로써 헐벗은 아내와 딸을 데리고 정처 없이 걸었던 가장의 심정을 시로써 잘 나타내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잠시 고향을 떠나 바닷가 서천 송강(松江 : 현재 장항읍 송림리 솔리천) 계산(鷄山 : 당뫼)에서 바닷물을 끓여 소금을 생산하는 자염업(煮鹽業)과 방풍을 캐어 약제로 팔며 궁핍한 생활을 진택 신광하(申光河) 둘째 형님과도 함께 하기도 하였다.

 

5. 애틋한 딸에 대한 미안한 마음

 

기록 신광연은 첫아들을 낳았지만, 일찍 요절하였기에 말년에 딸 셋만 두었다. 그에게도 대를 이을 소망이 있었을 것이다. 아들이 없이 딸만 있었기에 딸에게 푸대접을 하였던 마음을 항상 갖고 있었다.

 

그의 시 유녀<幼女 : 어린 딸 아이>에 딸에 관한 솔직함이 잘 드러나 있다.

 

“우리 어린 딸 총명하기 그지없어/ 아끼는 아비 마음을 모를 리 없네/ 말하기 전에 먼저 알아 행하고/ 네,네 대답하며 제때에 척척 맞추네/ 늘그막에야 사랑스러운 줄을 알겠으니/ 아들 아니라고 오래도록 무시해 미안 하구나/ 죽은 뒤의 일을 따져서 무엇 하랴/ 눈앞에 흡족하면 그것이 기쁨인 걸/”

 

이렇듯 노년의 아버지가 딸에 느끼는 솔직한 심정이 잘 나타나 있다.

 

 

6. 신행 온 아들 같은 사위에 대한 정 깊은 12곡

 

기록 신광연의 첫딸을 해남 동강(東江) 백제(白濟)마을에 시집을 보냈다 시집간 큰딸이 15세인 신랑과 함께 신행을 왔다. 큰 딸도 신랑과 비슷한 나이였다. 신행 온 사위를 장인과 장모가 맞이하는 모습을 12곡을 노래한 시를 지었다 옛날이나 오늘날의 신행의 모습과 다를 바 없이 보인다.

 

<1곡> : 신랑은 열다섯 살, 신부도 그 또래/ 양가에서 귀하게 자라, 어찌나 사랑스러운지/

 

<2곡> : 왼쪽 신랑은 문만큼 늠늠하고,/ 오른쪽 신부는 신랑 어깨만큼/ 늙은 장인은 너무

좋아서, 장모 사랑보다 훨씬 더하지/

 

<3곡> : 푸른 도포에 녹색 허리띠, 가늘게 짠 노란 삿갓 쓴 신랑/ 문밖으로 들랑들랑 정신

없이, 장모는 좋아서 죽는가 보네/

 

<4곡> : 서쪽 밭에 묻어둔 동치미, 서해 바다에서 가져온 청어/ 가난한 집 늙은 장모는,

“접대가 소홀하다”며 미안을 연발 하네/

 

 

<5곡> : 장인은 매사에 물정을 몰라, 자잘한 일은 아랑곳 않지/ 밥상 놓고 부끄럼 없이,

시 지어 사위에게 써보라 하지/ ---이하 생략--

 

1〜5곡에서 사위를 맞이하는 모습이 정겹다. 듬직한 신랑의 어깨만큼 자란 딸의 모습이다. 장모는 분주하게 오가며 백년손님인 사위에게 대접할 음식 장만이 분주하고 푸짐하다.

 

그러나 가난한 살림에 딹 잡아 주는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고작 밭에 묻어준 동침이와 생선 몇 마리이다. 그러나 장인과 장모의 마음은 풍족하게 보인다.

 

6〜12곡은 사위가 살고 있는 해남을 모습을 그리고 사위가 살고 있는 그곳 해남 동강(東江) 백제(白濟)마을로 사위 집 찾기는 식은 죽 먹기라며 그 대 마당 앞 작다란 복사꽃도 사위를 기다려 피어날 테지, 집에 가서 그 꽃이 피었거든 한 가지 꺾어 내게 보내 달라 하고 있다.

 

기록 신광연의 고향 <숭문북동>집 주변에도 복사꽃을 심었다 석북 형의 시인<詩人>란 시(詩)에 집주변에 복사꽃 피어난다는 구절이 있는 것으로 보아 사위집과 자신의 집을 연상한 것이다. 그러면서 예전에 내 젊은 날, 그대 조부(윤치민)의 사위였고, 그리고 그대가 이제 우리 집 사위가 되었다고 하고 있다.

 

7. 기록 신광연은 4남매를 묶어주는 중심인물

 

기록 신광연은 문학사에 명성을 날린 인물은 아니지만, 그러나 부모님을 모시고 고향을 지키면서 형제들과 애틋한 정을 나누며, 조카들을 가르치며 경제적으로 궁핍한 삶을 살아간 시인 이였다.

 

기록 신광연은 고령신씨 숭문동8문장가를 배출할 수 있도록 무대 뒤에서 조연을 한 인물이 아닌가 싶다. 1778년 향년64세로 생을 마감했다. 전북 군산시 임피에 장사 지냈다가 화양면 활동리 남쪽 산에 이장하였다.




포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