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06 (토)

  • 흐림서산 3.5℃
  • 대전 3.3℃
  • 홍성(예) 3.6℃
  • 흐림천안 2.7℃
  • 흐림보령 3.0℃
  • 흐림부여 3.0℃
  • 흐림금산 4.4℃
기상청 제공

【사설】기해년 ‘설날’의 의미를 되새기며…

URL복사
설날은 한자로 원단(元旦), 세수(歲首), 연수(年首)라고도 하며, 일반적으로 설이라고 부른다. 설은 한자로는 신일(愼日)이라고 쓰기도 하는데 근신하여 경거망동을 삼간다는 뜻이다. 

묵은 1년은 지나 보내고 설날을 시작으로 새로운 1년이 시작되는데 1년의 운수는 그 첫날에 달려 있다고 생각했던 탓이다.

설날의 세시풍속은 매우 다양하다. 요즘에는 드물지만, 예전에는 섣달 그믐날 자정이 지나면 복조리 장사들이 복조리를 한 짐 메고 마을을 다니면서 복조리(福笊籬)를 사라고 외쳐댄다. 

조리(笊籬)는 쌀로 밥을 지을 때 모래와 잔돌을 걸러내는 도구이다. 설날 아침에 복조리를 파는 풍속은 먹을 쌀이 없어서 굶는 날이 많았던 시절에 설날에 산 복조리로 일 년 내내 쌀을 일 수 있고, 일 년 내내 먹을 식량이 떨어지지 않도록 해달라는 마음에서 나온 것으로 생각한다. 

어쨌든 복조리는 새해의 복(福)을 담는 징표로 여겼으며, 새해 아침에 집안에 걸어두면 복이 담긴다고 믿었다. 설날에는 아침 일찍 일어나서 세수를 정갈하게 하고 미리 마련해둔 새 옷으로 갈아입는데 이 새 옷을 설빔이라 한다. 

또한, 가족과 친척들이 모여들어 정초의 차례를 지낸다. 차례는 모처럼 자손들이 모두 모여 오붓하게 지낼 기회이기도 하다. 차례가 끝나면 어른들께 순서를 따져 세배를 올린다. 

떡국으로 마련한 세찬(歲饌)을 먹고 어른들은 세주(歲酒)를 마신다. 세찬이 끝난 후에는 차례상에서 물린 여러 명절 음식들을 나누어 먹는 음복(飮福)이 마련된다. 

아이들에게는 세뱃돈을 주며 덕담을 나누고 한해의 운수대통을 축원해준다. 이웃과 친인척을 찾아서 세배하러 다니는 일도 중요한 풍습이다.

설날에는 그밖에도 윷놀이, 연날리기, 널뛰기, 팽이치기, 제기차기 등 다양한 민속놀이를 즐기며 가족 친지들과 함께 즐겁게 지내곤 했었다.

‘설’이라는 낱말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학설이 있다. 나이를 뜻하는 ‘세(歲)’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지만, 언어 계통학적으로 볼 때 우리말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우랄 알타이어 계통의 산스크리트어(語)에서 유래된 ‘살’이라는 단어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가장 설득력이 있어 보인다. 

산스크리트어에서 ‘살’이란 새로 돋고 새로 솟는다는 의미의 단어로서 시간상으로 이전과 이후가 달라진다는 시간적 경계(境界)를 의미하는 말이다. 묵은해와 새해를 경계하는 날이라는 뜻으로 해석되는 것이다.

아무튼 ‘설날’은 우리 민족 최대의 명절인 것은 분명하다. 설날 아침에는 때때옷을 입고 세뱃돈을 두둑이 타서 동네 어귀에서 친구들과 제기차기, 연날리기, 팽이치기 등 추운 줄 모르고 신나게 놀았던 추억이 생생하다. 

설날이면 고향을 떠났던 이웃 친지들도 제각기 고향으로 돌아온다. 설을 쇠러 고향으로 돌아오는 가족들과 이웃들로 모처럼 동네가 시끌벅적하고 화기애애하다.

올해 설에도 모처럼 흩어진 가족들과 이웃 친지들이 고향에 돌아와 고향의 정(情)을 만끽할 수 있는 즐거운 명절이 될 것을 기원하며 sbn뉴스-서해방송·서해신문 가족 모두의 정성을 담아 애독자 여러분께 새해 세배를 드린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포토



배너